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어깨

어깨 Shoulder (3) - 관절의 움직임 - 1

by 지입중 2020. 3. 8.

페이지 이전

https://thinkbig-move.com/

 

Home - MOVE &

STUDY WITH US다양한 운동의 뿌리가 되는 지식들을 공부하자!!Click HereCHOOSE YOUR ITEMMOVE &에서 선별한 운동용품을 확인해보세요!!Click HereTHINK DIFFERENTLY기존의 가치들에 대해 다르게 생각해볼 수 있을까?Click Here Previous Next

thinkbig-move.com

더 많은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뼈를 보았으니 다음으로는 뼈의 움직임을 자세히 보려고 합니다.


어깨는 앞서 봤던 것처럼 쇄골, 흉골, 상완골, 견갑골, 흉곽들 사이에서의 관절들이 복합적으로 일하는 신체부위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AC JOINT와 ST JOINT의 운동과 그로 인한 ST JOINT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공부해봤습니다.

각 관절의 움직임과 견갑(ST JOINT)의 움직임을 공부해보자!!

 

어깨 관절들

이러한 4가지 관절의 움직임의 복합체는 크게 견갑골의 움직임과 상완골의 움직임으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견갑골의 움직임, 관절의 측면에서는 ST JOINT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습니다.

견갑골의 움직임

먼저 견갑골의 움직임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A. 거상과 하강(Elevation and Depression) : 견갑골이 흉곽에 대해 상방(하방)으로 미끄러짐
B. 전인과 후인(Retraction and Protraction) : 견갑골이 흉곽에 대해 전-외측(후-내측)으로 미끄러짐
C. 상방 회전과 하방 회전(Downward and Upward Rotation) : 견갑골이 상-외측(하-내측)으로 회전하여 관절와가
   상방(하방)을 향함.
D. 전방경사와 후방 경사(Anterior and posterior tilt) : 견갑골의 전방 기울임과 후방 기울임 
(D는 상완골의 움직임과 같이 보기로 하자)

다음과 같은 움직임이 각 관절에서 어떤 식으로 일어날까?

1. ST JOINT(흉골-쇄골 간 관절)
SC JOINT는 복잡한 안장 형태의 관절면을 가지고 있는데 어깨의 움직임이 일어날 때 역학적으로 버팀목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위이다. 즉, 어깨의 모든 기능적 움직임이 일어날 때 SC JOINT에서의 어느 정도 움직임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ST JOINT에서의 쇄골의 움직임

쇄골은 3도의 자유도를 가지면서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 대해서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거상과, 하강, 전인과 후인, 뼈의 장축에 대한 회전이 모두 가능합니다

SC JOINT의 운동형상학

쇄골은 위의 그림과 같이 볼록한 쇄골면과 오목한 흉골면이 관절하여 ROLL & SLIDE를 통해 움직임이 일어납니다
- 45도의 최대 거상 / 10도의 최대 하강
- 15도~30도 정도의의 전인과 후인
- 어꺠가 굴곡이나 외전 될 때 쇄골의 상면의 한 지점은 후방으로 40~50도 회전(원래 위치로 돌아오기 위한 전방 회전) 
 => 견갑골의 상방 회전에 따른 오훼쇄골인대(Coracoclavicular Ligment)의 영향

2. AC JOINT(견봉과 쇄골 간 관절)

AC JOINT

AC JOINT는 미끄러짐 관절 혹은 평면관절로 자주 설명됩니다. 
미세한 운동을 조절하며 견갑골의 운동을 돕습니다.
다시 말해 상방 회전과 하방 회전에 있어서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회전적 조절을 도와주는 것이 핵심 역할입니다.

견갑골의 거상과 하강

견갑골이 거상 하고 하강하는 모습을 바라보았습니다.
어깨를 으쓱하는 동작입니다. 슈러그 동작을 떠올리면 됩니다. 이때 SC JOINT에서의 거상의 움직임에 대해 AC JOINT에서 견갑골을 수직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하방 회전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즉, 거상과 하강은 SC JOINT와 AC JOINT의 회전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이라는 거죠. 하강은 반대의 운동 형상학이 나타날 것입니다.

견갑골의 전인과 후인

견갑골은 전인과 후인이 이루어질 때 SC JOINT에 대해 전인(후인)하고 있는 쇄골의 일반적인 경로를 따릅니다. 
이때 AC JOINT에서의 수평면 내에서의 조절을 통해 움직임의 범위 양을 확대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전인과 후인의 동작에서 AC JOINT와 SC JOINT는 상호 보완적이며 한쪽의 운동 감소가 일어나면 다른 관절에서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두 관절에서 정상적인 움직임이 모두 나오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견갑골의 상방회전과 하방회전

견갑골의 상방 회전은 관절와의 상방 회전을 당연히 유발하고 이는 팔을 드는 행동을 할 때 상완골을 지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수행 동작입니다. 
동작은 SC JOINT에서의 쇄골 거상과 AC JOINT에서의 견갑골 상방 회전의 종합으로 일어납니다.(하방 회전은 반대로) 
=> 견갑골의 60도 회전을 허용한다.

공부하고 생각해볼거리

ST JOINT - 견갑골의 움직임을 AC JOINT와 ST JOINT의 운동 형상학을 바라보며 이해하였습니다. 만약 팔을 들거나 내리는 어깨의 움직임을 가져갈 때 견갑골이 적절하게 움직이지 못한다면 다음과 같은 관절에서의 문제를 유추할 수 있겠죠?
이와 더해 관절 움직임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근육들을 파악하면 운동을 수행하기 전 수행 동작의 결여를 근육학적으로 파악할 수 도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초기 팔을 거상 할 때 쇄골하근이나 흉근, 흉쇄유돌근 등의 쇄골 부착 지점 근육들 혹은 인대의 문제가 있을 경우 SC JOINT나 AC JOINT에서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GH JOINT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전체적인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마저 다 이해해봐야겠습니다.

(근육학적으로 움직임 수행 시 근육 동원 순서와 어깨 관절의 움직임 순서(비율)는 추후에 다루도록)

 

참고문헌 : Donald A. Newman -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tste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