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어깨

어깨 Shoulder (2) - 골학적인 모습

by 지입중 2020. 3. 8.

페이지 이전

https://thinkbig-move.com/

 

Home - MOVE &

STUDY WITH US다양한 운동의 뿌리가 되는 지식들을 공부하자!!Click HereCHOOSE YOUR ITEMMOVE &에서 선별한 운동용품을 확인해보세요!!Click HereTHINK DIFFERENTLY기존의 가치들에 대해 다르게 생각해볼 수 있을까?Click Here Previous Next

thinkbig-move.com

더 많은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어깨 운동을 할때 알아둬야 할 기초 해부학!

어깨 운동을 한다면 기본적으로 알아둬야 할 기능해부학적 지식들을 정리해보자.

가장 먼저 봐야할 모습은 우리의 어깨 뼈들이 서로 어떻게 관절하고 있는지를 봐야합니다. 

뼈의 관절면의 모습만 잘 이해한다면 충분히 어깨의 움직임이 머릿속으로 잘 그려지면서 운동할 수 있겠죠?

 

어깨관절들의 기초를 공부하자

가장 먼저 어깨는 크게 4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다고 봅니다.

 

어깨의 관절들

1. SC JOINT(sternocavicular joint) - 흉골과 쇄골간의 관절

2. AC JOINT(acromioclavicular joint) - 쇄골과 견봉과의 관절

3. GH JOINT(glenohumeral joint) - 상완골과 견갑골과의 관절

4. ST JOINT(scapuiothoracic joint) - 견갑골과 흉곽과의 관절 (진관절은 아니라고 함)

이렇게 4개의 관절에서의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전체적인 어깨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어깨 관절면의 각도

이러한 어깨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관절하고 있습니다

- 쇄골은 그림처럼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았을 때 수평선에서 20도 정도의 각

- 견갑골은 수평한 것이 아니라 흉곽의 면을 따라서 35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완골, 쇄골과 관절

- 상완골은 이러한 견갑면의 각도와 관절하기 위해서 30도 정도 뒤로 회전한 상태로 관절

 

상완골과 견갑골이 관절하는 모습

추가로 상완골은 약 135도 정도 위를 향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5도 정도 상방회전 된 견갑골과 관절하여 중력에 대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즉 어깨에서는 뼈들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관절하고 있고 이러한 각도가 가장 자연스러운 각도입니다

만약 이러한 신체의 각도가 평상시에 무너진 상태라면 어깨에서의 통증, 불편함, 기능의 부재들이 나타날 수 있겠죠? 

따라서 어깨운동을 할 때 여기서의 관절 각도를 생각하면서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될겁니다.

특히 어깨 운동의 대명사인 사이드레터럴 레이즈를 할 때 견갑면이 형성하는 35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팔을 들어올리게 된다면 특별한 지장 없이 운동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관절의 가동범위가 충분하지도 않고 인대의 강함이나 근력이 충분하지 않은 사람이 관절면의 각도를 모른 채 무리한 어깨 운동을 하게 된다면 여러 부상의 위험이 따를 수 있겠죠?

견봉의 형태
상완골의 대결절에 집중해서 보자
견봉하공간의 축소
상완골 외회전의 필요

추가로 우리가 봐야 할 점은 우리의 상완골에는 대결절과 소결절이라고 상대적으로 툭 튀어나온 부위가 있습니다. 특히 대결절(greather tuberosity)이라는 부위에 집중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여러 근육의 부착지점이기도 한데요. 이때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은 위에서 보이는 견봉과의 충돌입니다. 상대적으로 튀어나온 부위는 팔을 들어올릴 때 견봉의 공간을 축소 시킬 수 있는데요 따라서 견봉하공간의 축소로 인해 여러 회전근개나 구조물들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물론 근육의 작용등으로 인해 뼈가 밑으로 슬라이딩이 이뤄지긴 합니다만 그 부분은 나중에 또 이야기 하겠습니다)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그렇다면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실시할 때 대결절의 위치에 적절한 변화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즉 견봉하공간에서도 더 넓은 부위로 이동이 필요할 것인데 이 동작을 시켜주는 것이 바로 팔의 외회전입니다.

견봉하공간은 그림처럼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뒤쪽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완골의 외회전을 하게되면 대결절의 위치가 뒤로 움직이게 되고 이는 안전한 팔의 거상을 도울 것 입니다.

반대로 상완골의 과도한 내회전을 동반한 팔의 거상은 부상의 위험을 초래하겠죠? 

운동의 수행동작을 보면서 뼈의 움직임을 머릿속으로 그려보시면 훨씬 도움 될 겁니다!!

참고문헌 : Donald A. Newman -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tste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