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이전
더 많은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회전근개(rotator cuff)에 대해서 먼저 공부해봤죠!!
그러면 이제 남은 어깨에서의 움직임들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내전(ADduction)과 신전(Extension) / 하방회전(Downward Rotation)
외회전(External rotation) / 내회전(Internal rotation)
견관절을 내전시키고 신전시키는 근육 그리고 하방회전
견관절의 내전과 신전근들은 다른 동작에서의 근육들 보다 더 큰 등척성 토크를 발생시키는 근육군들입니다.
GH JOINT(관절와상완관절)에서의 굴곡과 외전의 움직임이 견갑골(ST JOINT-견흉관절)의 상방회전과 연관지어
설명 가능했다면 반대로 내전과 신전은 견갑골(ST JOINT)의 하방회전의 움직임으로 설명합니다.
어떤 근육들이 작용하는지 본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대흉근(Pectoralis major)
- 쇄골지 : 쇄골 내측 1/2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흉골지 : 흉골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늑골지 : 제 2~7번 늑골연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흉골,늑골두(sternocostal head)가 견관절에 있어서 가장 큰 내전과 신전근육입니다.
- 상완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 : 견갑골 관절하결절 <~> 척골 주두돌기
<PD=후삼각근 TM=대원근 IF=극하근과 소원근 LD=광배근 RD=능형근>
그림을 보게되면 우측에서 Gelnohumeral ADduction과 좌측에서 Scapulothoracic Downward Rotation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 : 견갑극 <~>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
- 대원근(Teres Majoir) : 견갑골 하각(외측연) <~> 상완골 이두근구 내측순연
- 극하근(Infraspinatus) : 견갑골 극하와 <~> 상완골 대결절(중관절면)
- 소원근(Teres Minor) : 견갑골 외측연 (중부) <~> 상완골 대결절(하관절면)
+능형근(Rhomboid) (근섬유 방향)
- 소능형근 : C7 ~ T1 극돌기 <~> 견갑극근
- 대능형근 : T2 ~ T5 극돌기 <~> 견갑골 척추연
GH JOINT(관절와상완관절)에서의 움직임이 일어날 때 견갑골의 안정화를 위한 능형근 작용의 선행이 필수
-> 내전할 때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견갑골의 하방회전과 후인의 움직임
- 소흉근(Pectoralis minor) : 제3, 4 5 늑,골전면 <~> 견갑골의 오훼돌기
- 광배근(Latissmus Dorsi) : 흉요근막(T7~장골능) / 하부 3~4개 늑골 / 견갑골 하각 <~> 상완골의 이두근구
이 두개의 근육 또한 견갑의 하방회전을 만들어내는데 보조하는 근육들이다 광배근은 GH JOINT에서의 내전과 신전을 만들어내는 근육이자 견갑골의 하방회전을 보조한다는 것이 인상 깊습니다
추가로 수평면에서의 굴곡과 신전의 움직임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활쏘기 자세를 살펴보자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때에는 후면 삼각근(posterior deltodi)의 수평신전근(horizontal extensor)으로서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이때 견갑골의 고정을 위해서는 그림과 같이 LT(Lower Trapezius)의 수축이 동시적으로 요구된다고 합니다.
견관절의 외회전과 내회전 근육
내회전시키는 일차적인 근육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견갑하근(Subscapularis) : 견갑골 견갑하와 <~> 상완골 소결절
- 전삼각근(Anterior deltoid) : 쇄골 외측 1/3지점 <~>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
- 대흉근(Pectoralis major)
- 쇄골지 : 쇄골 내측 1/2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흉골지 : 흉골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늑골지 : 제 2~7번 늑골연 <~> 상완골 이두근구 외측 순연
- 광배근(Latissmus Dorsi) : 흉요근막(T7~장골능) / 하부 3~4개 늑골 / 견갑골 하각 <~> 상완골의 이두근구
- 대원근(Teres Majoir) : 견갑골 하각(외측연) <~> 상완골 이두근구 내측순연
<광배근과 대원근 상완골을 안쪽으로 타고 들어가 이두근구에 부착되고 대흉근은 근육이 꼬여서 상완골에 부착한다.
따라서 수축하게 되면 상완골을 회전하는 운동형상학을 가지게 된다.>
외회전시키는 근육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극하근(Infraspinatus) : 견갑골의 극하와 <~> 상완골 대결절(중관절면)
- 소원근(Teres minor) : 견갑골 외측연 (중부) <~> 상완골 대결절(하관절면)
-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 : 견갑극 <~>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
공부하고 생각해볼거리
이러한 내회전근육과 외회전근육은 발생시키는 토크는 차이가 존재한다. 근육의 횡단면적만 고려해봐도 알 수 있습니다.
즉, 내회전근육의 토크는 외회전근육의 토크보다 훨씬 큽니다
이는 추가적으로 공을 던지는 행위와 같은 움직임이 큰 내회전 토크를 발생시키고 상대적으로 작은 극하근이나 소원근에 대해 큰 힘을 요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움직임과 근육의 토크들의 차이를 근육이나 관절낭의 부분 열상을 일으키고 회전근개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로 확장하여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또 하방회전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근육의 불균형 즉, 회전근개의 약화로 인해 상완골의 병진운동이 적절히 조절되지 못한다면 단순히 팔을 들어올릴 때만 충돌증후군이나 어깨에서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팔을 내리는 동작을 할 때에도 충분히 통증을 느낄 수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Donald A. Newman -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tstem
'기능해부학 > 어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shoulder (7) - 근육의 움직임 (회전근개 Rotator cuff) (0) | 2020.03.11 |
---|---|
어깨 Shoulder (6) - 근육의 움직임 (0) | 2020.03.11 |
어깨 Shoulder (5) - 견갑상완리듬 (0) | 2020.03.10 |
어깨 Shoulder (4) - 관절의 움직임 - 2 (0) | 2020.03.09 |
어깨 Shoulder (3) - 관절의 움직임 - 1 (0) | 2020.03.08 |
댓글